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- 리눅스 기초
- 워치독 타이머
- 임베디드
- 임계 영역
- up-casting
- 외부인터럽트
- 코딩
- 리눅스 setvbuf
- 임베디드 입문
- 다운캐스팅
- AVR기초
- 아두이노
- 대구소프트웨어고등학교
- setvbuf
- down-casting
- peterson 알고리즘
- 무래함의 비용
- 임베디드 시스템 프로그래밍
- 데커
- Dekker
- 데커 알고리즘
- 임베디드시스템프로그래밍
- 임베디드 초급
- AVR
- 임베디드 개발자
- 피터슨 알고리즘
- 데커 알고리듬
- 업캐스팅
- 2019년 회고
- c언어 setvbuf
- Today
- Total
인성 좋은 인성이
<무례함의 비용> 정중함의 힘 본문
당신은 어떤 사람인가?
무례함의 비용을 읽었다.
저자는 무례함이 손실을 불러오고 정중함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성공한다고 주장 한다. 책에서는 무례한 행동의 결과를 정중한 행동을 했을 때의 결과와 비교를 한다. 이 책은 1,2,3부로 나누어 구성되어 있다.
1부에서는 무례한 언행에 대한 예와 그 것들이 개인과 조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다룬다. 2부에서는 나 자신에 대한 테스트를 하고 나를 무례한 상황 속에서 보호하는 법을 다룬다. 마지막으로 3부에서는 조직에 정중함을 전파하는 방법이 다루어진다.
이 책에서는 무례함은 전염성이 아주 강하고 건강한 성인을 병들게 할 수 있다고 하며 무례함이란 바이러스와 같다고 주의를 해야 한다고 한다. 이 책은 조직을 기준으로 쓰여 있다. 그래서 초반에는 나에게 집적적인 내용이 있을까 의문이었지만 글을 읽을수록 나의 모습을 되돌아보게 하는 내용들이 많았다. 이를테면 글 속에서 자주 등장하는 내용인 ‘당신은 무례한 사람인가?’에서 나는 이때까지 내가 했던 무례한 언행들을 떠올리면서 미안한 감정을 느꼈다. 그리고 사람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서 잘 모른다는 내용이 공감이 되었다. 나 또한 나를 되돌아보지 않았다면 몰랐을 무례한 언행을 했었기 때문이다. 이 책은 그런 무례한 언행을 줄이는 방법과 그런 무례함에서 나와 조직을 지키는 방법을 알려 주었다. 우선 매일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자. 스스로 피드백을 하자 나의 모습을 알아야 내가 변화할 수 있다. 다음으로는 긍정적인 사람이 되자 항상 웃으며 다가가고 진심을 다하여 경청하며 고맙다는 표현을 하자. 정중함을 전파하는 사람이 되어야 나와 내 주위 사람들을 지킬 수 있다. 이 책의 핵심은 피드백과 자기 성찰을 통한 성장인 것 같다. 무례함으로 물든 이 세상 속에서 정중함을 지닌 사람이 되어야 한다.
우리 스스로 질문 해보자 '나는 정중한 사람인가?'